Bora Sung
등고선 Contour lines, Artist Statement

등고선에는 유기적인 선들이 나열되어 있고 산의 고도에 따라 색깔도 다르게 표시된다.

등고선이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감정선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산마다 다른 등고선을 갖고 있듯이 사람들도 각자의 감정의 선들이 있고, 그것들은 매우 유동적 이다. 또한 산이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되어 지금의 형태가 되었다면, 인간은 자주 쓰는 표정에 따라 깊이 패인 주름을 갖는다. 그 주름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가장 매력적인 선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의 감정을 관찰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라고 느낀다. 그러나 그 감정들은 하나로 정의 내리거나 규정지을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기엔 감정이라는 것은 복잡하고 방대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제한적인 방법이 필요했다. 동일한 환경과 동일한 목적이 있는 인물들을 관찰하고 인간 개개인이 보여주는 표정이나 행동에 대해 탐구해볼 것이다.

I am interested in a contour lines, a method used for indicating the form and the height of a mountain. A series of systematic lines are lined up to form contour lines, which are indicated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each mountain.

I believe that these contour lines share similar attributes of emotional lines of human beings have. Just as each mountain has its own contour lines each person has his/her own emotional lines which can be extremely flexible. In addition, while mountains are scaled over long period of time to take the present forms, people develop their deep creases from the frequently used facial expressions. I believe that these creases are the most attractive lines human beings possess.

I feel that it is part of our instinct to observe the emotions of others. However, these emotions cannot be defined or described in one way. They are too complex and massive to be treated thus.

That is why I decided to become a more incisive observer. I intend to observe people who are in the same environment and have identical goals, and I’ll explore the looks and gestures revealed by each human being.

아무도 나를 좋아하지 않아 NOBODY LIKES ME, Artist Statement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이 세계와의 관계가 익숙지 않아 지고 말았다. 사람들과의 갈등, 현실에서의 역할을 넘어 오로지 나만 존재하는 순수한 내면의 세계로 가고 싶었다. 일기처럼 사적인 나의 감정상태와 경험을 기록하는 것은 아주 일시적일 뿐, 더 확장하고 작업화 하여 스스로 솔직해지길 원했다.

현실에서는 스스로를 들어내기보다는 남 뒤에 서있거나 솔직한 감정을 숨기려고만 하는 성향을 가졌지만 내면세계에서는 솔직하고 때론 차분하며 불안한 얼굴을 가지고 있다. 나의 그 불안감은 순수한 감정이기도 하며 질투가 강할 때도 있고 또 그것으로 나약해지기도 하는 복잡한 감정이다. 작업 안에서는 그 감정들을 다 내보이고 싶었다.

작업에 등장한 모델들은 내가 의도하고자 하는 감정을 이해할 수 있다고 해서 작업을 시작하진 않았다. 그녀들의 몸짓과 표정을 관찰했다. 마른 사람은 몸만 마르지 않는다. 얼굴도 표정도 말랐다. 뚱뚱한 사람도 그렇다. 몸과 얼굴이 조화되는 사람을 선호한다. 뚱뚱한 모델은 내가 가지고 있는 감정들 중 하나를, 마른 몸매를 가진 모델은 또 다른 감정을 표현해 낸다.

모델들은 내가 제시한 공간 속에서 몸과 얼굴을 들이민다. 게다가 아주 흥미롭게도 모델들은 이곳에서 너무 자연스럽게 포즈를 취했다. 마치 내가 자기 앞에 서있는 것 도 잊은 채 말이다. 사람들의 시선으로부터 벗어난다는 것은 이렇게 놀랍도록 자유를 준다.

I started to feel unfamiliar about the relationship I have with the world I am living in. I wanted to go into my inner world, beyond my role in reality and the conflicts I have with people.

When I started to think about working on this theme, I thought it would be better that I don't appear on the pictures since, in that world, I am all alone and existing within me. I didn't want my works to be like my diary. I thought the proper approach about this project would be to have a variety of people express the feelings of my inner world through their body figures or facial expressions.

The facial expressions of my models generally look anxious. That anxiety was the dominant emotion I had about my world. That anxious feeling was innocent at times and intensely jealous at other times: sometimes, it was an anxiety about becoming weak from feeling both.

The people who model in my pictures feel awkward not only about standing in front of a camera but also about the people around the scene. So, I usually go to quite places to take my pictures. Those places were none other than nature. Interestingly enough, they posed with so much more freedom out in the natural environment, as if they had forgotten that I was standing in front of them. The idea of getting out from people's attention or view, thus gives such an amazing freedom to each individual.

I was so moved when I discovered my experiences or emotions through other people. Perhaps they too have seen the world within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