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eonwoo Lee
37°24'03.3"N 126°39'19.0"E, Artist Statement

내가 살고 있는 곳은 뚜렷한 목적으로 설계되어 매립된 신도시이다. 자연스레 이곳의 풍경은 도시계획에 의해 인공물과 자연물이 조화를 이루며 익숙한 풍경으로 다가온다. 하지만 종종 계획된조화에서 벗어나 이탈된 것들과 마주할때 낯설음을 느꼈다.

나는 이러한 경험이 인공과 자연의 접점 영역에서 상호 간 침투하며 야기된 경계의 모호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했다. 하여 이탈된오브제와 풍경을 기록하는 동시에 인위적인 조작을 가해 가상의이탈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The place where I live in is the new city that has been planned and reclaimed with its definite goal. Naturally, the scenery of this city is familiar, as a result of the harmonization with the artifacts and organic structures, which both have been set by the city planning. However, I always felt unusual when I sometimes happened to encounter the deviated elements from the devised harmony.

I considered that this odd experience is caused by the ambiguity on the horizon, which the latter has been mutually permeated and caused by the contact point of the artificiality and nature. Thus, I intended to record the scenery and deviated objet, and simultaneously, represent the virtual deviation by supplementing an artificial manipulation.

Overlayer, Artist Statement

송도신도시는 1980년대 후반 구상된 계획에 의해 바다에 매립된 도시이다. 어린시절 신도시 근방에서 자란 나는 스무 살이 되던 해 이곳으로 이사왔다. 어느날 공사가 한창인 도시 외곽에 자라난 염생식물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 식물은 이식된 흙 위에서 갯벌의 흔적을 증명하고 있었다. 그리고 어린시절 신도시 자리에 끝없이 펼쳐진 바다를 바라봤던 기억과 함께 신도시를 인간의 관념이 구현된 곳으로 바라보게 했다. 그렇게 신도시의 풍경은 가상과 현실의 층위가 혼재되어 있는 이질적인 감각으로 다가왔다. 이번 작업을 통해 이질적인 감각이 만들어 내는 환영을 사진으로 재현하고자 했다. 염생식물을 처음 발견한 장소의 2000년대 항공사진을 투명 아크릴판에 출력하였다. 그리고 이곳에서 과거에 서식하던 염생식물들을 3D 모델링으로 재현하여 식물의 흔적이 남아있는 공사현장에 아크릴판을 설치하고 빔프로젝터를 사용해 투사하였다.

The New Town of Songdo is a city buried in the sea according to a plan that was designed in the late 1980s. Growing up near the new town as a child, I moved here around the time I turned 20. One day, I found salt plants growing outside of the city where the construction was in progress. The plants were evidence of the traces of mudflats on the transplanted soil. This, along with the memory of looking out at the endless sea in the location of the new town as a child, it made me look at the new town as a place where human concepts have been embodied. In that way, the landscape of the new town came in a heterogeneous sense in which the layers of virtual and reality were mixed. I tried to represent the illusion created in that heterogeneous sense with photographs through this work. I also printed the aerial photograph from the 2000s where the salt plants were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on a transparent acrylic panel. And here, the salt plants that used to live in the past were recreated through 3D modeling, the acrylic panel was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where the traces of plants remained, and the image was projected using a beam projector.

Soft echo, Artist Statement

이 작업은 스위스 대사관 건물 내부에 대사관이 위치한 서울시 송월동 일대에서 사용되었던 과거의 사물들을 가져와 촬영한 작업이다. 스위스 대사관은 ‘스위스 한옥’이라는 프로젝트로 한국의 역사에 대한 존중과 함께 이질적인 두 문화와 더불어 과거와 현재라는시간이 교차하는 곳이다. 그럼에도 이국적으로 다가온 대사관 건물의 내부는 스위스의 문화와 관념의 영향 속에서 현대식 가구와 장식품들이 정교하게 배치되었기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런 점에서나는 재정비되어 사라져 버린 지금의 건물이 위치한 돈의문 일대의과거 주민들의 생활 흔적들을 찾아 대사관 안으로 가져오고자 했다. 서울역사박물관의 아카이브 사진에서 수집한 한국 전통가옥의사물들을 배경 판과 빔프로젝터를 이용해 대사관 건축물의 내부 공간에 투사하여 재구성된 실재 공간을 촬영하였다. 촬영 시 대사관내부를 기록하는 촬영 노출시간과 빔프로젝터의 빛을 기록하는 투사 시간의 차이를 통해 사진 속 현재의 시공간에 과거의 사물들을환영처럼 드러낸다. 과거와 현재가 교차하는 순간을 통해 콘트리트벽으로 나눠지는 두 나라의 관념적 경계를 관통한다.

This work was taken with objects from the past used in Songwol-dong, Seoul, where the embassy is located inside the Swiss embassy building. The Swiss Embassy is a project called ‘Swiss Hanok’, where the time of past and present intersect with respect for Korean history and two different cultures. Nevertheless, I thought that the exotic interior of the embassy building was due to the elaborate arrangement of modern furniture and ornaments under the influence of Swiss culture and concept. In this regard, I tried to find traces of the lives of the past residents in the Donuimun area where the present building is located and bring them into the embassy. Objects of traditional Korean houses collected from archive photos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were projected o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embassy building using a background board and a beam projector to photograph the reconstructed real space.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osure time, which records the inside of the embassy, and the projection time, which records the light of the beam projector, the objects of the past are revealed in the present time and space in the photograph as an illusion. Through the moment when the past and the present intersect, it penetrates the ideological boundary between the two countries divided by a concrete w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