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ongjin Ahn
시각의 관점 Perspective of Viewpoint, Artist Statement

나는 아직도 양쪽 눈을 번갈아가며 감았다 뜨곤한다. 우리의 눈과 세계가 서로에게 강하게 매듭지어져 있다는 걸 실감하는 순간이다. 우리 주변의 이러한 다층의 매듭들, 시각적이거나 의식적인 묶음들을 벗어나고 싶었다. ‘시각의 관점’은 시점의 두 축에 관한 작업이다. 소실점이 상실된 이상적 공간 인식에 대한 시도이자 더불어 일상적 주변 공간에 대한 전위적 접근이기도하다.

실제적 시각은 항상 소실점을 갖고 있다. 그것은 관찰자가 공간 속에 한 지점을 점유하고 있는 이상 벗어날 수 없는 물질적 육체적 한계이다. 하지만 의식속에서 재구성되는 공간에는 제한이 없다. 평면위의 선분들이 평행 하며 모든 계량적 요소들은 등척성을 갖을 수도 있다. ‘시각의 관점’은 이러한 이상 공간에 대한 시각적 재구성 이다. 그렇게 나오는 결과는 투시도법에 의한 전개도와도 같이 재현된 공간이다.

또 하나의 시점은 일상적 주변을 채우고 있는 평면들을 위한 것이다. 인식속에서 정신적 캔버스로서 작용하는 어떤 벽과 바닥들을 앞세워 서사적 주제에서 탈피하고자 했다. 실제적 변두리이자 인식적 변두리에 위치한 평 면이 장소성을 벗어나 그 자체로 구체적 대상이 되기를 바랐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나는 변두리 공간 앞에서 카메라를 고정시켰다. 그리고 평면들을 복원하기 위한 지표들을 그리고 그 지표를 바탕으로 기하보정을 하였다. 투영 왜곡 보정을 위해서는 수학적 방식인 특이값 분해(SVD)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벽에 실제로 지표를 그리는 행위는 논리적 방식으로 치환되어 이상적 공간위에 평평 한 표면을 입혀주었다.

I still blink one eye after the other. At those moments I am reminded of how strongly our eyes are connected to our world. Then I wanted to be freed from those multi-layered bonds restricting our visual and logical senses.

‘Perspective of Viewpoint’ is a work concerning the two axes of our view. It is an attempt to understand ideal, vanishing point-free spatial perception and an avant-garde approach to the daily spaces surrounding us.

Technically, there is always a vanishing point in our view. We cannot deny that fact as we exist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laws of physics. But a space that is constructed inside one’s mind knows no boundaries. There can be parallel segments on a one-dimensional flat surface, qualitative elements may be isometric. One aspect of the ‘Perspective of Viewpoint’ is the visual reconfiguration of the ideal space. The resulting space will be a reconstruction upon a perspective drawing blueprint. The other aspect concerns our daily spaces. It is an attempt to break free from epic subjects, substituting generally preferred objects by walls and floors that are the canvas of the mind. I wanted actual surface to be seen as an object itself, not as fixed spaces located within the boundaries of physical recognition.

To realize this work I fixed my camera in the edge of the target spaces, then set up indicators to restore plane areas and applied geometric correction based on those indicators. The mathematical algorithm SVD(Singular Value Decomposition) has been used to rectificate projection distortion. Configuration of actual indicators on the walls have been substituted by a logical process that built plane surfaces within the ideal space.

출구없음 No Way Out, Artist Statement

누군가의 사진을 바라볼때면 나의 시선은 매순간 촬영자의 시선과 동기화되어 촬영자가 보았던 그 순간을 함께 한다. 이것은 마치 일인칭 시점의 영화를 보듯 촬영자의 시선을 통해 여기가 아닌 어떤 다른 세계로 이어지는 경험이라고 느낀다. 이 곳으로부터 빠져나가, 사진이 보여주는 세계로 촬영자와 함께 서 있는 느낌을 받는다. 하지만 그 흐름의 방향은 일방통행이다. 시선은 일순간에 사진을 지나쳐 다음 세계로 달려나가, 밖으로 떠나버린다. 현실을 너무나도 자세히 모사하는 2차원 단편 매체로서 어쩔수 없는 듯하였다.

나는 빠져나가는 시선을 막아보고 싶었다. 그래서 여기에 사진을 두 장 두었다. 두장의 사진은 서로를 마주 보게 하였다. 단, 다른 하나의 것은 내가 바라보는 곳에서 볼 수 없었던 나머지를 바라볼 수 있게 하였다. 왕복하는 시선은 서로 반복적으로 교차하게 했다. 내가 어딘 가를 보고있을 때 그 어느 곳도 나를 보는 것처럼.

촬영은 한 장의 평평한 사진과 그 단편을 마주하는 다른 하나의 구형 파노라마 사진(spherical panorama)으로 구성하였다.

이 작업은 인간의 시각적 인식에 관한 나의 두번째 작업으로 다분히 느슨한 장소 설정이 있었다. 이미지 속의 대상인 장소들은 개인적인 혹은 사회적인 어쩌면 자연적인 경계 지점들이 되었다. 두개의 시선이 교차할 수 있는 곳이 곧 촬영 장소였다. 이미지를 난폭하게 다루는 기계적인 실험과 여전히 이미지들로 부터 심리적인 위안을 받는 나의 위태로운 정서라는 두 경계에 서있는 작업이었기에 그러한 장소 설정이 따라왔다. 또한 사진예술에 대한 사변적인 요구 혹은 무책임한 감상같은 스스로의 질문에 답하지 않기 위해 경계에 서있기로 했다. 그럼에도 나는 사진 이미지가 가장 친숙한 형태로 세계에 대한 감각을 제시해야 한다고 믿는다. 그렇기에 물리적인 두개의 시선외에도 세번째 이미지 자체라는 시선으로 확장되기를 바란다.

Upon encountering any photograph, I find myself synchronizing my gaze with that of the photographer to share the very fleeting moment captured. It is an experience analogous to watching a film shot from the first-person perspective, where the eye of the camera steers me into another world. It feels like I join the photographer in retreating into the world rendered in the photographic image. Yet, it is a one-way flow. My gaze stops at the photo transiently and runs out into another world before it flies off, which seems inevitable for a single 2D medium that simulates the reality too precisely.

I would like to keep the gaze from flying off. To that end, I have placed two photographs here face to face. One represents what my eyes see, whilst the other gazes upon what my eyes cannot reach. The two-way gazes alternately cross each other so that the place and I can look at each other at the same time. For shooting, one flat photograph is set to stand opposite to the other spherical panorama.

This is my second work concerning human visual perception with an obviously loose spatial setting. The places as the subjects in the images become personal, social or natural boundary points. The shooting place allows two gazes cross. Such a spatial setting in this work mirrors a border touching two aspects, viz. a mechanical experiment ruthlessly treating images and my precarious sentiment of psychologically being comforted by images. In addition, I have chosen to stand on the borderline lest I answer the questions raised by myself regarding speculative needs for photographic art or some unaccountable sentimentalism. Still, I believe photographic images should present a sensation of the world in the most familiar form to extend the gaze to a third image itself in addition to the two physical gazes.

기억의 숲 Forest of Souvenir, Artist Statement

아파트의 숲에서 자란 이에게 유년기의 기억은 회색일 것이다. 또한 그것마저 상실한 이에게는 회색 추억 마저 소중할 수 있을 것이다. 흔해 보이는 도로 포장 조차 지나간 기억으로 남은 형식들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이것은 내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소위 아스팔트 키드라 불리는 성장환경을 갖고있는 나는 아파트에서 태어나고 자라났다. 삭막 하다고 표현해도 아쉽지 않은 곳 이었지만, 그것들 마저 재건축으로 잃고 나면 얼핏 같아 보이는 회색 도로 포장 마저도 그때의 것과 지금의 것이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환경에 대한 기억의 최소단위를 이루는‘도시 표면’에 대한 기억 또한 소중한 것이 된다.

이 작업은 누군가의 추억이 될 재료에 대한 두가지 방향의 수집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기억을 숲과 나무로 상정할때, 첫번째는 나무에 해당하는‘표면’의 절취에 대한 것이다. 형상으로 인식되기 이전의 질감으로서 의 기억이 그것이다. 그리고 전자의 정반대에 해당하는, 어슴프레 눈을 감으면 떠오르는 전체적인 분위기 에 대한 기억이 있다. 이것이 숲에 해당하는 기억의 이미지이다. 이 두가지 양극단의 기억 을 한쪽은 기억의 최소단위로, 다른 한쪽은 배경음으로 설정한 사진 설치 작업이다.

도시환경이란 쉽게 변하고 사리지기 쉬운 연약한 것이다. 이 작업이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추억 속을 더듬 거리기 전, 마지막 처방전이 되기를 바라며, 누군가에겐 위안이 되기를 바란다.

The childhood memories that grew up in the forests of apartments would be gray. Gray memories can also be precious to those who have lost it. Even common road pavements do not come back like the past.

This work is aimed at collecting two directions for the material that will be a memory for someone.When the memory is assumed to be a forest and a tree, the first is about the cutting of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tree. It is the memory of the texture before being recognized as a form.And there is a memory of the overall atmosphere that comes up when you close your eyes, which is the opposite of electrons. This is an image of memory that corresponds to the forest. It is a photograph installation work that sets the memory of these two extremes as the minimum unit of memory and the background of the other.

This is based on my personal experience.The urban environment is fragile and easy to change. I want this work to be the last prescription before I lose everything and stumble into memories, and I want to be a comfort to somebody.